"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것을 욕망한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B.C. 384~322)는 그의 주저인 『형이상학』을 위의 문장으로 시작하고 있다. 그의 말대로 인간의 지(知)에 대한 욕구는 생득적인 것 같다. 인간은 단순히 물질대사에 의해 생명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정보대사에 의해 광활한 지적 세계에 대한 탐구를 갈망해 왔다. 섭식을 통해 인간의 육체가 유지 · 진화되어 온 것처럼 독서를 통해 인간의 지식은 온축 · 진보되어 온 것이다. 독서에는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지적 생활형 독서와 출력을 전제로 한 지적 생산형 독서가 있다. 전자는 출력의 목적은 불분명하지만, 읽는 행위 그 자체만으로도 즐거움을 느끼는 목적으로서의 독서인 데 반해, 후자는 출력의 목적..
나는 산과 바다로 둘러싸인 섬마을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시간이 나면 그저 멍하니 산과 바다를 바라보는 것이 나에게는 그 무엇과도 비견할 수 없는 위락이었다. 모든 사물에 대한 '판단'을 일시적으로 멈추고 머리와 마음을 온전히 비운 채 그저 하염없이 바라보기만 했다. 무념무상의 상태에서 자연을 관조하는 시간이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된 것은 그로부터 한 참이 지난 후였다. 대학교 2학년 때부터 대학원 수업을 청강하면서 인도의 고전어인 산스크리트어, 팔리어와 중국의 고전어인 한문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했고, 군대를 전역한 이후인 학부 3학년 때부터는 티베트어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내가 고전어를 공부하면서 얻은 가장 큰 깨달음은 고전어가 야기하는 어려움의 기저를 이루는 ..
독서에는 독서 그 자체에서 즐거움을 얻는 목적으로서의 독서와 독서를 통해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독서가 있다. 여기에서는 목적으로서의 독서는 배제하고, 수단으로서의 독서, 이 가운데 지식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2가지의 독서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지식 생산이라는 용어는 『지식 생산의 기술』(북포스, 2009)의 저자이자 일본 국립민족학 박물관의 관장이었던 우메사오 다다오가 제일 처음 사용했다. 우메사오 다다오에 따르면 지식생산이란 기존의 정보나 새로운 정보를 바탕으로 인간의 사고를 통해 새로운 지적 정보를 생산해 내는 작업을 의미한다. 그는 지식 생산에서 가장 중요한 2가지의 기술로 생각하려는 자세와 생각한 것을 직접 실천해보려는 용기를 제시하는데, 이것은 끊임없는 자기변혁과 자기훈..
- Total
- Today
- Yesterday
- 느리고 깊은 글쓰기
- 윌리엄 새파이어(William Safire)
- 느리고 깊은 글쓰기(Slow and Deep Writing)
- 조지 오웰(George Orwell)
- wim
- 5월 수강 신청
- 독서 명언
- 마크 트웨인(Mark Twain)
- 언어(Language)
- 글쓰기(Writing)
- 세스 고딘(Seth Godin)
- 윌리엄 포크너(William Faulkner)
- 인간 해방
- 어니스트 헤밍웨이(Ernest Hemingway)
- T. S. 엘리엇(T. S. Eliot)
- 새뮤얼 존슨(Samuel Johnson)
- 글쓰기 명언
- 윌리엄 서머싯 몸(William Somerset Maugham)
- WIM ACADEMY
- instagram@wim.ac
- wim1.tostory.com
- 초심자의 글쓰기
- wim1.tistory.com
- 글쓰기 원리
- 해방 원정대
- wim.ac
- 글귀스타그램
- Wimacademy
- 글쓰기
- 좋은 글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